호재12 질리카 코인 호재와 전망 질리카는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샤딩(Sharding) 기술을 도입했다. 질리카 코인은 질리카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콘트랙트를 실행하거나 트랜잭션할 때 수수료로 사용한다. 심볼 : ZIL 최초 발행 : 2018년 1월 총 발행한도 : 210억개 시가총액 : 1.5조원 (2022년 5월5일 기준) 현재 유통량 : 142억개 (2022년 5월 5일, 코인게코 기준) 특징 질리카는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합의에 필요한 노드 수가 적어 트랜잭션 처리가 빨라진다. 질리카는 데이터를 여러 부분으로 나눠 다수의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을 한다. 이같은 네트워크 샤딩은 효율적인 트랜잭션을 하게 해준다. 전망 질리카는 샤딩 기술을 도입한 첫번째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 2022. 5. 5. 웨이브 코인 호재와 전망 웨이브는 디지탈 자산을 개발하고 전송, 거래, 디앱 개발 등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자체 내장된 P2P 방식의 디지털 자산 거래 기능을 바탕으로 탈중앙 거래소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코인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웨이브 코인(WAVES)은 웨이브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자산이다. 코인으로 다른 코인을 교환하거나, 토큰을 생성하고 발급할 때 수수료로 사용한다. 웨이브는 블록체인 클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심볼 : WAVES 최초 발행 : 2016년 6월 시가총액 : 2.1조원 (2022년 5월 5일 기준) 유통량 : 약 1억 817만개 (2022년 5월 5일 기준) 특징 위임지분증명(DPos)와 비슷한 리스지분증명(LPoS)를 합의 알고리즘으로 사용한다. 위임지분증명.. 2022. 5. 5. 메탈 코인 호재와 전망 메탈코인은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주고 받을 수 있는 화폐를 목적으로 고안됐다. 메탈페이 앱 안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거나 송금 및 구매 시 보상 용도 등으로 사용한다. 심볼 : MTL 최초 발행 : 2017년 7월 총 발행한도 : 약 6658만개 시가총액 : 1860억원 (2022년 5월 5일 기준) 유통량 : 약 6658만개 특징 초기 단게에서 공정거래증명(Proof of Processed Payments, PoPP) 합의 알고리즘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 방식으로 MTL을 분배했다. 이를 위해 신원 확인 기술을 적용한 AML 및 사기방지 시스템을 도입했다. 2021년 9월 PoPP 방식의 토큰 분배가 완료됐다. 메탈은 일상 결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다중 블록체인의 필.. 2022. 5. 5. 스팀 코인 호재와 전망 스팀 코인은 블록체인 SNS 플랫폼인 스팀잇에서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된다. 스팀잇에서는 콘텐츠 저자와 큐레이터가 활동에 따라 스팀을 분배받는다. 스팀을 예치하면 스팀파워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콘텐츠를 평가 및 큐레이팅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스팀은 스팀달러로 바꿔서 가치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도 있다. 심볼 : STEEM 최초발행 : 2016년 3월 시가총액 : 약 2000억원 (2022년 5월 5일 기준) 현재 유통량 : 약 39억500만개 (2022년 5월 5일 기준) 특징 작업증명 기반(POW)의 채굴 방식을 가진 비트코인과 달리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채택했다. 스팀잇 체계는 스팀(STEEM), 스팀파워(SP), 스팀달러(SBD)라는 각각의 기능과 역할이 있는 토큰으로 설계돼 있다... 2022. 5. 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