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13 테라와 루나가 망가진 이유 2022년 5월 10일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UST)가 1달러 아래로 떨어지는 '디페깅(Depeggin)' 현상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UST의 가치 안정화 토큰인 루나(LUNA) 가격도 폭락했다. 원인 테라는 루나를 사거나 판매하는 방식으로 가치를 안정화하는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이다. 테라 가치가 떨어지면 루나를 판 돈으로 테라를 사들여 달러와 페깅을 유지한다. 하지만 2022년 5월 10일 오전 1시를 전후해 테라 가격은 0.9달러로 무너지기 시작해 오전 9시 30분쯤에는 0.68달러까지 떨어졌다. 테라 가격이 급락했지만 루나를 활용한 가치 안정화 기능이 장시간 작동하지 못했다. 테라 가치가 폭락하자 이에 연동된 루나의 가격도 폭락했다. 대응 테라폼랩스는 트위터에서 "테라의 가격 안정화를 위해 .. 2022. 5. 10. 이더리움네임서비스 호재 전망 이더리움네임서브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이름 지정 서비스다. 지갑 주소나 메타 데이터 등 가독성이 떨어지는 데이터를 '***.eth'와 같이 간단한 ENS 도메인으로 바꿔준다. DNS(.com/.org/.io)까지 통합해 사용할 수 있다. 이더리움네임서비스 토큰(ENS)는 이더리움네임서비스 생태계 내에서 거버넌스 권한의 용도로 사용된다. 심볼 : ENS 시가총액 : 6099억원 (2022년 5월5일 기준) 총 발행한도 : 1억개 현재 유통량 : 약 2486만개 (2022년 5월 5일, 코인게코 기준) 특징 도메인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트리라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이름 및 주소를 매핑하는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리졸버로 구성돼 있다. 레지스트리를 통해 도메인을 등록하고 리졸버를 통해 도메인 네임.. 2022. 5. 5. 루나 코인 호재 전망 테라는 모든 블록체인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화폐를 만드는 프로젝트다.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TERRA)와 테라 가격 안정화를 위한 채굴 자산인 루나(LUNA)가 생태계를 구성한다. 테라 가격이 떨어지면 스왑을 통해 루나를 추가 발행하고 테라를 소각해 가격을 안정화시키는 원리다. 루나는 스테이킹, 거버넌스, 보상, 담보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심볼 : LUNA 최초 발행 : 2019년 4월 시가총액 : 37.3조원 (2022년 5월5일 기준) 총 발행한도 : 10억개 현재 유통량 : 약 3억 4334만개 (2022년 5월 5일, 코인게코 기준) 특징 테라 네트워크는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허용(BFT)을 기반으로 한다.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검증자들이 루나를 스테이킹해야 한다. 위임 지분 증명 방.. 2022. 5. 5. 파일코인 호재와 전망 파일코인은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파일 시스템(IPFS) 기술을 사용해 탈중앙화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파일코인 플랫폼에서 저장공이 필요한 사용자는 스토리지 채굴자에게 파일코인(FIL)을 지불하고 저장공간을 얻을 수 있다. 심볼 : FIL 최초 발행 : 2017년 9월 시가총액 : 3.9조원 (2022년 5월5일 기준) 발행한도 : 19억 6990만개 현재 유통량 : 1억9887만개 (2022년 5월 5일, 코인게코 기준) 특징 파일코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검증 시스템으로 복제증명방식과 시공간증명방식을 사용한다. 검장 과정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노의 참여가 필요하다. 노드의 종류는 체인 검증 노드, 고객 노드, 저장 채굴자 노드, 회수 채굴자 노드 등이 있다. 전망 파일코인은 전통적인.. 2022. 5. 5. 이전 1 2 3 4 다음